Engineering/Fluent Bit2 [Fluent Bit] #2 docker container을 활용한 INPUT 예시 https://steady-programming.tistory.com/26 [Fluent Bit] #1 Fluent Bit란? (feat. Fluentd 동생) 정리배경 입사 후 담당하게 된 두번째 프로젝트가 팀에서 사용하는 로깅 (Logging) 파이프라인을 재구성하는 것이었다. 사내에서 사용하는 로깅 시스템이 있었지만 아래 이유 때문에 재구성의 필 steady-programming.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fluent bit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luent bit 도커 이미지를 활용해서 다양한 INPUT, OUTPUT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보겠다. 사용할 도커 이미지 fluent bit 공식 도커 이미지를 사용한다. https://hub.docker.com/r/fl.. 2022. 11. 21. [Fluent Bit] #1 Fluent Bit란? (feat. Fluentd 동생) 정리배경 입사 후 담당하게 된 두번째 프로젝트가 팀에서 사용하는 로깅 (Logging) 파이프라인을 재구성하는 것이었다. 사내에서 사용하는 로깅 시스템이 있었지만 아래 이유 때문에 재구성의 필요성이 느껴졌다. 에러 메세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UI 상의 불편함 → ElasticSearch에 적재함으로써 검색의 용이성 확보 제한된 로그 메세지 형식으로만 로그를 적재할 수 있는 불편함 → json 형태의 메세지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는 kafka를 중간 매개체로 사용 만약에 팀 차원에서 로깅 시스템을 직접 개발한다면, 이런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개발을 시작했고 그 가운데 사용한 기술 스텍은 아래와 같다. Fluent Bit Fluentd Kafka ElasticSearch 각 기술에 대해 컨.. 2022. 11. 20. 이전 1 다음